[대표기자 칼럼] 트럼프 관세전쟁 생존전략은?
[CEONEWS=이재훈 대표이자] 트럼프가 돌아왔다. 그리고 보호무역도 함께 돌아왔다. 세계 경제는 다시 한 번 격랑 속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 트럼프식 관세 폭탄은 동맹과 적을 가리지 않는다. "위대한 미국"을 외치는 그의 정치적 야망 아래, 한국 경제의 생명줄인 철강, 자동차, 반도체가 정조준당했다.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 입장에선 악몽의 재현이다.
벼랑 끝에 내몰린 철강, 자동차, 반도체
먼저 철강. 25% 관세 부활로 한국 철강업계는 미국 시장에서 밀려나는 신세가 됐다. 이미 중국발 공급 과잉과 가격 하락 압박에 시달리던 상황에서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쿼터 협상으로 버티던 시절은 끝났다. 대체 시장을 찾고 내수를 다지려 하지만, 잃어버린 미국 시장을 채우기엔 역부족이다.
자동차는 더 심각하다. 트럼프가 25% 관세를 강행하면 현대차·기아의 미국 수출은 직격탄을 맞는다. 이미 현대차그룹은 미국 공장 투자를 늘리며 ‘Made in America’ 전략을 가동 중이다. 하지만 모든 차종을 미국에서 생산할 수는 없다. 관세 장벽 앞에서 글로벌 생산 재편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반도체 역시 예외가 아니다. 미·중 기술 패권 전쟁 속에서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처지다. 중국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의 압박과 중국의 견제 사이에서 줄타기를 강요받고 있다. 트럼프가 추가 관세나 제재를 꺼내면 한국 반도체 공급망은 더욱 흔들릴 것이다.
트럼프발 보호무역의 충격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 경제 전체가 흔들리고 있다. 관세 전쟁은 투자 위축과 소비 둔화를 초래하고, 이는 결국 경기 침체로 이어진다. 이미 금융시장에서는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뉴욕 증시는 흔들리고, 안전자산으로 돈이 몰리고 있다. 한국 증시 역시 요동치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됐다.
외교화, 고도화, 글로벌화로 생존 모색
이제 중요한 건 한국 기업들이 어떻게 살아남느냐다. 해법은 세 가지다.
첫째, 외교적 협상력을 극대화해야 한다. 미국은 동맹도 가리지 않는다. 우리 이익은 우리가 지켜야 한다. 정부는 모든 외교적 수단을 동원해 관세 면제 협상을 이끌어내야 한다. 기업들도 개별 외교전에 나서야 한다. 워싱턴 정·재계 인맥을 활용하는 것은 필수다.
둘째, 산업 구조를 고도화해야 한다. 더 이상 값싼 제품을 많이 만들어 팔던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대체 불가능한 핵심 기술을 쥐고 있어야 한다. 철강업계는 특수강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해야 하고,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자율주행차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 반도체는 메모리 초격차를 유지하면서 시스템반도체와 AI칩 등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야 한다.
셋째,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확대해야 한다. 미국에서 생산하면 관세를 피할 수 있다. 현대차가 미국 공장을 늘리는 이유다. 반도체도 미국과 동남아에 생산 거점을 구축해야 한다. 글로벌 공급망을 다변화해야 관세 전쟁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
관세 전쟁에서 생존하면 왕좌 차지
트럼프의 귀환은 한국 기업들에게 가혹한 현실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킨다. 이제 과거처럼 시장에 기대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보호무역 시대에는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기업만이 생존할 수 있다. 외교적 협상, 기술 혁신, 글로벌화 전략을 실행하는 기업만이 투자자의 신뢰를 얻고 위기를 기회로 바꿀 것이다. 결국, 관세 전쟁에서 살아남는 자만이 미래의 왕좌를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