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준철의 픽뉴스 4] '4000'은 외풍(外風), '5000'은 내치(內治)에 달렸다

4000 돌파는 美 금리 기대감과 외국인 수급이 견인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본질적 해소가 5000 시대의 진짜 열쇠

2025-10-27     배준철 기자
2025년 10월 27일, 코스피가 장중 4038포인트를 돌파하며 사상 첫 '4000 시대'를 열었다. 뉴욕 증시의 사상 최고치 경신과 미중·한미 정상회담 등 외교적 호재가 겹치며 시장은 축제 분위기에 휩싸였다. 외국인은 4400억 원이 넘는 순매수로 화답했고, '10만 전자'와 '50만 하이닉스'가 지수를 끌어올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부터 공언한 '코스피 5000'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는 듯하다.

[CEONEWS=배준철 기자] 2025년 10월 27일, 코스피가 장중 4038포인트를 돌파하며 사상 첫 '4000 시대'를 열었다. 뉴욕 증시의 사상 최고치 경신과 미중·한미 정상회담 등 외교적 호재가 겹치며 시장은 축제 분위기에 휩싸였다. 외국인은 4400억 원이 넘는 순매수로 화답했고, '10만 전자'와 '50만 하이닉스'가 지수를 끌어올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부터 공언한 '코스피 5000'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는 듯하다. 그러나 국내 언론들이 '미국 훈풍'과 '외교 기대감'이라는 단기적 현상에 취해 있을 때, 우리는 한발 더 나아가 냉철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지금의 4000 돌파는 과연 5000으로 가는 초석인가, 아니면 외부 요인에 의한 일시적 과열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4000'은 외부 유동성(外風)이 밀어 올린 숫자일 수 있으나, '5000'은 이재명 정부의 '내치(內治)', 즉 한국 증시의 고질병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달려있다.

■4000의 동력은 '펀더멘털'이 아닌 '수급'

4000 돌파의 핵심 요인은 '미국 9월 CPI 상승률 둔화'와 '금리 인하 기대'였다. 하지만 이는 한국 기업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강화되었다기보다, 글로벌 유동성의 방향이 '위험자산 선호'로 바뀌었음을 의미할 뿐이다. 데이터가 이를 증명한다. 외국인은 이날 4429억 원을 순매수했다. 이는 미국발(發) 훈풍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패시브 자금, 즉 한국 시장의 '가치'를 보고 투자하기보다 신흥국 시장 전체의 비중을 조절하는 자금일 가능성이 높다.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3758억 원, 69억 원을 순매도했다. 특히 연기금 등을 포함한 기관의 매도세는, 이들 국내 주체들이 현 지수대를 단기 차익 실현의 기회로 보고 있음을 시사한다.

키움증권 한지영 연구원의 "실적 기대감이 선반영", "단기 차익 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이라는 분석은 정곡을 찌른다. 현재의 4000은 '한국 기업이 싸고 매력적이어서'라기보다 '미국 금리가 내릴 것 같으니 일단 사자'는 심리가 만든 숫자다.

■5000으로 가는 길, 'PBR 1배'의 벽을 넘어야

2025년 10월 27일, 코스피가 장중 4038포인트를 돌파하며 사상 첫 '4000 시대'를 열었다. 뉴욕 증시의 사상 최고치 경신과 미중·한미 정상회담 등 외교적 호재가 겹치며 시장은 축제 분위기에 휩싸였다. 외국인은 4400억 원이 넘는 순매수로 화답했고, '10만 전자'와 '50만 하이닉스'가 지수를 끌어올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부터 공언한 '코스피 5000'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는 듯하다.

코스피 4000에서 5000으로 가기 위해서는 지수가 25% 더 상승해야 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같은 초대형 기술주가 현재의 상승세를 이어가더라도, 이 두 기업만으로 5000을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시장 전체의 '가치 재평가'가 필수적이다. 여기서 국내 언론이 간과하는 핵심 지표를 짚어야 한다. 바로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척도인 PBR(주가순자산비율)이다. 코스피는 고질적으로 PBR 1배 미만에서 거래되어 왔다. 기업이 가진 순자산(청산가치)보다도 시장에서 낮게 평가받는다는 의미다. 2024년 초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가동하며 잠시 1배를 회복하는 듯했으나, 본질적인 변화 없이는 다시 회귀했다.

4000을 돌파한 현재, 코스피12M(향후 12개월) 선행 PBR은 1.0배를 겨우 넘겼을 뿐이다. 반면 미국 S&P500의 PBR은 4배가 넘고, 일본 닛케이도 2배에 육박한다. '코스피 5000'은 단순히 지수 5000이 아니라, 코스피 PBR이 최소 1.25배 이상으로 '정상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익(E, Earnings)이 폭발적으로 늘거나, 아니면 시장이 매기는 가치(P/E, P/B)가 재평가되어야 한다. 현재의 글로벌 경기 상황에서 전자를 기대하기 어렵다면, 답은 후자뿐이다.

■이재명 정부의 두 가지 시험

2025년 10월 27일, 코스피가 장중 4038포인트를 돌파하며 사상 첫 '4000 시대'를 열었다. 뉴욕 증시의 사상 최고치 경신과 미중·한미 정상회담 등 외교적 호재가 겹치며 시장은 축제 분위기에 휩싸였다. 외국인은 4400억 원이 넘는 순매수로 화답했고, '10만 전자'와 '50만 하이닉스'가 지수를 끌어올렸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부터 공언한 '코스피 5000'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는 듯하다.

이재명 대통령이 주창한 '주식·자본시장 정상화 정책'은 결국 이 PBR을 올리는 정책, 즉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정책과 동의어여야 한다. 4000에서 5000으로 가는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은 '내치'의 성공에 달려있다.

첫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강제성' 확보다. 정부가 추진해 온 밸류업 프로그램은 '권고' 수준에 그쳐 시장의 실망을 샀다. 자사주 소각이나 배당 확대를 '하면 좋고, 안 해도 그만'인 상황에서 '오너 리스크'가 상존하는 한국 기업들이 주주환원에 나설 리 만무하다. 5000 시나리오의 첫 번째 관문은 이 정책의 실효성 확보다. 주주가치 제고 노력을 법인세 감면 등 '확실한 당근'과 연계하고, PBR 0.5배 미만의 상습적 저평가 기업에 대해서는 '거래소 퇴출' 등 강력한 페널티를 부과해야 한다. 시장에 '이번엔 다르다'는 시그널을 주어, 죽어있던 은행·지주·유틸리티 섹터의 PBR을 1배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4500선까지의 1차 목표가 될 것이다.

둘째, '상법 개정'을 통한 지배구조의 근본적 개혁이다. 이것이 가장 본질적인 문제다. 한국 시장이 저평가받는 근본 원인은 낮은 주주환원율과 불투명한 지배구조다. 이는 '대주주(오너)의 이익'이 '소액주주의 이익'보다 우선시되는 법적 환경 때문이다. 이 대통령의 핵심 공약이었던 '상법 개정'(예: 이사의 충실의무를 '회사 및 주주의 이익'으로 확대, 다중대표소송제 도입 등)이 5000 시대로 가는 마지막 열쇠다. 만약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에 '주주'가 포함되는 법 개정이 이루어진다면, 이는 한국 자본시장의 '혁명'이 될 것이다. 기업의 물적분할 후 쪼개기 상장, 대주주 일가에게만 유리한 합병 비율 산정 등 고질병이 법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가 되어서야 비로소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되고 있다'고 판단, 단순한 패시브 자금이 아닌 한국 기업의 '가치'에 투자하는 액티브 자금을 투입할 것이다. 국내 기관과 개인들도 '내 돈을 맡겨도 오너에게 빼앗기지 않는다'는 신뢰를 갖게 될 것이다.

■축제가 아니라 시험대

코스피 4000 돌파는 축하할 일이다. 그러나 미국발 훈풍에 기댄 축제는 짧게 끝나기 마련이다. FOMC 회의, 미중·한미 정상회담은 지수의 단기 변동성을 키울 뿐, 5000으로 가는 방향키가 아니다. 진짜 승부는 '내치'에 있다. '코스피 5000' 공약은 단순한 숫자 약속이 아니라, '한국 자본시장을 근본적으로 뜯어고치겠다'는 정치적 선언이었다. 4000이라는 숫자에 도취해 이 개혁의 고삐를 늦춘다면, 이는 '공염불'로 끝날 것이다. 4000 돌파는 '축하'가 아니라, 이재명 정부의 개혁 의지를 시험대에 올린 '신호'로 읽어야 한다. 외풍(外風)이 불어온 지금이야말로 내치(內治)의 칼날을 세워야 할 때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라는 뼈아픈 개혁 없이는, 5000은 영원한 신기루로 남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