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NEWS=박수남 기자]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4월 2일(현지시간)부터 보복 관세를 시행하며, 3일부터는 수입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1일(현지시간) 공식 확인했다.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은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에 대해 상응 조치를 시행할 것이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직후 즉시 발효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해방의 날’이라고 칭하며, 오후 4시(미 동부시간) 로즈가든에서 공식 발표를 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미국의 주요 교역국들과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으며, 세계 경제 전반에 대한 불확실성도 확대되고 있다. 캐나다는 즉각 보복 관세로 대응할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고, 멕시코도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에도 철강, 알루미늄, 중국산 제품 전반에 대한 고율 관세를 시행한 바 있으며, 이번에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평균 2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연간 6조 달러의 세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는 미국 국민에게 환급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기업 투자 위축과 소비자 물가 상승을 초래해 미국 경제를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미 글로벌 제조업 활동이 위축되고 있으며, 미국 내 공장 가동률도 감소세로 돌아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유무역 정책이 미국 노동자와 제조업에 피해를 줬다고 주장하며 강경 무역 노선을 이어가고 있으나, 경제 전문가들과 기업들은 그의 관세 정책이 오히려 경기 둔화를 부추기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