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NEWS=이재훈 대표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중도보수’ 발언이 정치권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이 대표는 민주당이 더 이상 진보정당이 아니며, 오히려 중도보수 정당에 가깝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우클릭’ 선언은 중도층 공략을 위한 전략적 발언으로 보이지만, 당내 반발과 보수진영의 조롱을 불러오면서 예상치 못한 논란을 낳고 있다.
민주당 내 분열: 전략적 변화 vs 정체성 혼란
민주당 내부에서는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친이재명계 의원들은 “민주당은 원래 중도보수 정당이었다”며 발언을 적극 옹호하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과거 “우리 당은 중도우파 정당”이라고 말한 바 있다는 점을 들어, 이번 발언이 정당한 역사적 해석이라는 주장이다.
반면 비이재명계 인사들은 당의 정체성을 하루아침에 바꾸는 것은 무책임한 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민주당은 중도보수 정당이 아니다”라며 강한 비판을 내놨다. 이 대표의 ‘중도보수’ 선언이 오히려 진보 진영과의 연대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국민의힘: “C급 짝퉁” vs “입당 권유” 조롱
보수진영은 이 대표의 발언을 조롱하고 있다.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은 “보수 코스프레에 불과하다”며, 민주당의 최근 정책 변화가 여당의 정책을 표절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일부 의원들은 “진짜 보수가 되고 싶다면 국민의힘에 입당하라”고 비아냥거렸다.
그러나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경계의 목소리가 나온다. 민주당이 중도보수까지 아우르는 전략을 구사할 경우, 국민의힘이 극우 이미지로 몰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보수진영도 극우적 행보에서 벗어나 중도 표심을 잡기 위한 전략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전망: 중도 확장 전략의 성공 여부는?
정치 전문가들은 이 대표의 전략이 성과를 거둘지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중도층을 흡수해 총선과 대선에서 승리하려는 의도는 이해되지만, 당내 반발과 기존 지지층 이탈이 변수가 될 수 있다. 또한 중도보수를 선언한 만큼, 이에 걸맞은 정책과 성과를 제시하지 못하면 단순한 ‘말의 성찬’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
이재명 대표의 ‘중도보수’ 행보가 민주당의 체질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될지, 아니면 내부 분열을 초래하는 자충수가 될지, 그 향방에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