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NEWS=이재훈 기자] 대한민국 유통업계 2위 홈플러스가 결국 파산의 문턱을 넘었다. 문제는 이 몰락 뒤에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의 손자국이 뚜렷하다는 것이다.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 배경엔 차가운 전략과 무모한 욕망이 깔려있다. 신용등급 강등과 재무 위기를 이유로 들었지만, 그 이면엔 막대한 부채와 부동산 매각, 결국 '먹튀'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는 MBK의 인수 전략이 자리 잡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2015년 영국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를 차입매수(LBO) 방식으로 인수했다. 인수 후 막대한 빚더미는 기업에 떠넘기고, 알짜 부동산을 매각해 단기 차익 4조 원 이상을 거둬들였다. 그 결과 홈플러스는 경쟁력을 잃고 지속적 영업 손실에 허덕이며 결국 법정관리 신세가 됐다. 이제 홈플러스는 빈껍데기만 남은 채 생사의 기로에 서 있다. 이것이 과연 투자인가, 아니면 명백한 '먹튀'인가.
최근 사태는 심각성을 넘어 황당함까지 드러냈다. 기업회생 신청 직전에 단기 채권을 발행해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으고, 곧바로 법원에 회생 신청서를 제출했다. 피해를 입은 투자자들은 MBK와 김병주 회장에 대해 형사고소를 제기하며 "사기극"이라 맹비난하고 있다.
김병주 회장의 경영 철학은 "기업 가치 극대화"로 포장되었지만, 실상은 단기 수익 실현에 급급한 자산 매각과 투자 회수였다. 과거 씨앤앰, ING생명, 롯데카드 등 피인수 기업들도 비슷한 전략 속에서 장기 성장 동력을 잃고 만신창이가 된 채 시장에서 버려졌다. 이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오로지 단기적인 이익만을 챙기려는 김 회장의 철학이 빚어낸 결과였다.
결국 금융당국도 MBK와 김병주 회장에 대해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신용등급 조작, 불공정 거래 의혹을 중심으로 MBK와 김병주 회장의 민·형사상 책임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MBK파트너스의 투자 방식 자체가 금융당국의 현미경 아래 놓이게 된 것이다. 만약 불공정 거래가 확인된다면 김병주 회장과 MBK는 민형사상 책임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번 사태가 던지는 질문은 단순히 홈플러스의 생존 여부를 넘어선다. 기업의 존재 이유가 과연 단기적 이익 창출에만 있는가? 지속 가능한 발전과 공동체 기여는 사모펀드의 투자 논리에서 아예 지워진 가치인가? 홈플러스 사태는 MBK 김병주 회장과 한국 사모펀드 산업 전체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지금 홈플러스의 위기는 단지 한 기업의 파산을 넘어 대한민국 자본시장의 가치와 미래에 관한 심각한 시험대이다. MBK와 김병주 회장이 과연 이 시험대를 어떻게 넘을지, 금융당국과 국민 모두가 예리한 눈으로 지켜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