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공장 방문 현장경영 가동
러시아 시장 기회 대비하라 지시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러시아 시장에 곧 기회가 올 것”이라며 고군분투중인 러시아공장을 직접 방문, 임직원들을 격려했다. 정 회장은 위기때 마다 경영의 해법은 언제나 현장에 있다는 지론아래 현장경영을 가동하며 분위기를 쇄신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이 지난 3일 상트 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현대차 러시아공장을 방문해 생산·판매 전략을 점검하며 현장경영을 가동했다.
정 회장은 이 자리에서 “러시아시장에 기회는 다시 올 것”이라며 이에 대비해 상품, 마케팅 등을 철저히 준비할 것을 지시했다.
정몽구 회장은 현지 공장을 점검하며 러시아 현지 임직원들에게 “어려운 시장 환경에서도 흔들림 없이 고군분투 하는 여러분들이 바로 애국자”라고 격려했다.
이어 정 회장은 “러시아시장에 기회는 다시 올 것이다. 어려움이 있더라도 러시아 시장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며 “시장이 회복됐을 때를 대비해 지금 우리의 브랜드가 시장에서 최고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상품, 마케팅 전략을 철저히 준비하라”고 강조했다.
특히 정몽구 회장은 8월초부터 생산에 들어간 소형 SUV 모델 ‘크레타’ 생산 라인을 점검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크레타는 지난해 인도시장에 출시돼 큰 인기를 끌었던 모델로 최근 러시아 시장에 불고 있는 SUV 열풍에 대응하기 위해 이달부터 러시아 공장에서 생산되기 시작했다.
현대차는 러시아 시장이 오랜 경기침체 영향으로 산업수요가 급감하고 있지만 경쟁력 있는 신차 출시를 통해 러시아 시장 내 브랜드 인지도를 한층 높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일부 글로벌 메이커들은 판매와 수익성이 감소하자 공장을 폐쇄하거나 조업중단, 감원 등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하고 있지만 현대·기아차는 생산차종 추가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는 일시적으로 수익이 조금 감소하더라도 제품력을 강화하고 기업 이미지를 높여 향후 러시아 시장이 회복됐을 때 시장 주도 메이커로 성장한다는 전략이다.
러시아 자동차시장은 오랜 경기침체 영향으로 2012년 294만대에 달하던 산업수요가 지난해에는 160만대로 반토막 가까이 감소하는 등 부진을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기아차는 오히려 러시아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전년 대비 13.5% 감소한 32만4,701대를 러시아 시장에서 판매했다. 하지만 러시아 전체 시장이 35.7% 감소함에 따라 시장점유율은 15.1%에서 20.3%로 크게 확대됐다.
올해 6월까지도 전체 시장이 14.1% 감소한 가운데 현대·기아차는 전년 대비 13.9% 감소한 13만4,100대를 판매해 시장 우위를 더욱 강화할 수 있었다.
러시아공장 점검을 마친 정몽구 회장은 슬로바키아와 체코로 이동해 현지 공장에서 생산된 자동차의 품질을 점검할 계획이다.
